마케팅 인사이트 6

무신사는 되고, 지그재그는 안 된 이유 :: 유저를 잘 활용해야 하는 이유 (3편)

유저 덕질하는 마케터, 으누입니다🐰 ​ 무신사의 네비게이션 바를 보면 2번째에 스냅 이라는 서비스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유저들의 패션 OOTD를 올릴 수 있는 공간인데요. 사실 지그재그에도 에픽이라는 동일한 서비스가 있습니다. 하지만 꽁꽁 숨겨두어서 지금은 찾기 힘들죠. (지그재그 사랑해요! 지그재그 헤비 유저입니다😂) [유저의 패션 사진을 보는 곳을 만든다] 기능 자체는 다를 것이 없는데, 왜 무신사의 스냅은 잘 되고 지그재그의 에픽은 잘 안 된 걸까요? ​ ​ ​ ✍️ 1단계는 볼 만한 콘텐츠가 쌓여야 합니다. ​ 무신사 스냅은 누구나 사진을 올릴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지그재그 에픽은 에픽 에디터로 선정된 사람만 사진을 올릴 수 있습니다. 그러니 콘텐츠가 올라오는 속도, 양 자체에 엄청난 차..

마이리얼트립이 수익의 50%를 나눠주는 이유 :: 유저를 잘 활용해야 하는 이유 (2편)

유저 덕질하는 마케터, 으누입니다🐰 마이리얼트립에서 유저가 발행한 링크로 수익이 발생하면, 수익의 50%를 나눠준다며 마케팅 파트너를 모집하고 있습니다. 마이리얼트립은 왜 수익의 50%를 나눠주는 걸까요?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?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생각합니다. 💸 유저의 링크에서 매출이 측정되지 않았더라도, 문제 없습니다. 브랜드 노출 효과는 확실하니까요. ​ 유저의 링크를 통해 구매 전환이 발생하면, 마이리얼트립은 분명 좋을 것 입니다. 하지만 여기에서 실제 매출 전환이 발생하지 않으면 또 어떤가요? ​ 유저가 앱이 아닌 개인의 SNS에 발행한 후기는 브랜드를 떠올리게 만든 것 만으로도 충분합니다. ​ ​ ​ 🗣️ 마이리얼트립을 떠올리게 하는 법? 앱 바깥에서 서비스의 후기를 생산하면 되죠. ​ ..

토스 증권 커뮤니티, 왜 잘 됐을까? :: 유저를 잘 활용해야 하는 이유 (1편)

유저 덕질하는 마케터, 으누입니다🐰 ​ 대부분의 앱 마케터들이 주목하는 서비스, 토스는 증권에서도 다른 서비스와는 차별점을 보였습니다. 바로 커뮤니티인데요. ​ 다른 증권 서비스에서도 흔히 말하는 종목토론방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왜 토스의 커뮤니티는 잘 된 것일까요? 바로 신뢰도 때문입니다. ​ 투자에 일가견이 있고, 정보를 나누고 싶어하는 기버(giver) 성향의 유저는 꼭 있기 마련이죠. 하지만 그 사람이 정말 수익을 잘 내고 있는 사람인지, 어그로성 글만 적는 사람은 아닌지 알기 어려웠습니다. ​ 토스는 콘텐츠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뱃지를 활용했습니다. 뱃지가 붙어있는 사람의 글은 어느 정도 믿고 봐도 괜찮은 것이죠. ​ 대표적으로 명예로운 뱃지는 3종류가 있습니다. 자산가:..

[데이트립] 사용자 중심으로 앱 개선해보기

요즘 관심있게 보고 있는 앱인 '데이트립' 분명 좋은데, 왜 막 엄청 재밌지는 않을까? 왜이렇게 딱딱하게만 느껴질까? 라는 생각이 들어 데이트립에 대해 이것저것 생각해보았다. 그래서 작성하게 된 정보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데이트립 바꿔보기 #1. 메인페이지의 UX writing 개선 회색은 현재이고, 파란색은 나의 개선 제안사항 이느니라... #2. 큐레이션 UI/ UX 개선 회색은 현재이고, 파란색은 나의 개선 제안사항 이느니라... #3. 마이페이지 UI/ UX 개선 (+게이미피케이션) 회색은 현재이고, 파란색은 나의 개선 제안사항 이느니라... 물론 내가 데이트립의 직원은 아니니, 데이트립의 의도는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겠지만 사용자로써 이런 점은 이렇게 개선되면 좋지 않을까? 라는 포인트에서 ..

(2) [VIBE바이브] 유저의 노동을 줄여주는 VIBE

으누 뭐하누? 브랜드 분석하는데여? 두번째 이야기 [네이버 VIBE 뮤직] /기존과 색다르고, 내가 할 일이 적어서, 편한, 그래서 더 좋아지는 VIBE/ 제가 VIBE에 빠져버린 이유,,이야기 해 볼게여. 후하후하 VIBE는 "내 음악 취향을 기반으로 노래를 추천 및 재생해주는 음원 어플" 이에요. "취향을 기반으로 추천" 이 말은 정말 예~~~전부터 많이 나왔고, 빛 좋은 개살구라고 생각했었는데요. 왜냐면, 그동안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천해주는 음악들은 전혀,,totally,,completely,,,저의 취향이 아니었기 때문이죠. 그렇다면 바이브VIBE는 뭐가 그렇게 달랐는지! 왜 오래 남아있을 수 밖에 없는지! 알아보도록 할게요. 음원스트리밍 서비스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3가지! 멜론, 벅스, ..

(1) [29CM, 무신사] 비교분석 및 전략수립

으누뭐하누? 온라인편집샵 분석하는데여? 첫번째 이야기 / 온라인편집샵 대표주자 '무신사'와 29CM 비교분석 및 전략수립 / . . . 학교에서 진행한 고객경험 관련 프로젝트요. (※ Pine & Gilmore의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논문을 바탕으로 진행된 플젝이오!) (저는 논문을 읽었지만, HBR에도 자세히 나와있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소.) (HBR 링크 : hbr.org/1998/07/welcome-to-the-experience-economy) 이번 프로젝트는 동일 industry 내의 2개의 retail store를 선택해 각 store가 제공하는 experience가 무엇인지, experience에 영향을 미치는 elements는 무엇인..